티스토리 뷰
- 해심밀경소 원측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는 신라의 고승 원측의 저서이다. 본래는 10권이었으나 권10이 산일되어 지금은 9권만 남아 있다. 권1은 서품序品으로 여기에서 해심 해심밀경소
원측 스님의 해심밀경소는 유가행파의 소의경전인 해심밀경에 대한 주석서이다. 이 책은 현재 전해지는 원측의 저술 가운데 가장 중요한 대작 원측의 유식학 대작, 해심밀경소
티벳대장경에 입장入藏된 중국 찬술 문헌 중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법성法成, Chos grub에 의해 번역된 원측의 해심밀경소 티벳역이하 원측圓測 해심밀경소 티벳역의 성격과 의의/ 안성두
원측의 해심밀경소 원측 圓測 ; 613∼696은 신라 진평왕 때의 왕손 출신으로서 일찍이 출가하여 경론을 학습한 뒤에 15세 때627에 중국에 유학했었다. 처음 중국에 원측의 해심밀경소1
입장에서 불성론을 전개하고 있는데, 원측도 이에 적극 찬동하는 것이다. 즉 원측이수 있다. 이상과 같이 원측이 지은『해심밀경소』를 중심으로 하여 그의 유식사상 원측의 해심밀경소5
- 해심밀경소 원효
해심밀경소. 解深密經疏. 동문선일심원효. 신라 시대의 승려 원효元曉가 『해심밀경』에 대하여 주석한 책. 해심밀경소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정병조동문선일심 해심밀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는 신라의 고승 원측의 저서이다. 본래는 10권이었으나 권10이 산일되어 승랑 · 원광 · 자장 · 원효 · 의상 · 원측 · 제관 · 의천 · 지눌 · 나옹 · 휴정 · 경허 · 성철 · 숭산 · 종파 · 목록 · 5교9산 · 5교양종 · 선교양종 · 조계종 · 조동종 해심밀경소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의 서문, 10. 원효는 이 책에서 소승불교와 대승불교 등의 상대적 논란을 지양하고, 모든 중생은 불성佛性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저작
영인令因 · 현범玄範과 신라의 원측圓測 · 원효元曉 · 경흥憬興 등의 주석서가 있었다고 하나, 원측의 『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 10권만 현재 전하고 해심밀경 解深密經
일체 모든 것이 마음心 곧 가리새識 뿐이라 주장하는 것을 말한다. 원효의 해심밀경소는 현재 남아있지 않다. 다만 앞글序만 동문선에 실려 있다. 동문선東文選 원효解深密經疏序